ASUS 노트북(비보북 S15)을 구매하였는데 노트북에 하자가 있는 것 같아서 공식 서비스센터를 방문했습니다. 서울 용산구의 서비스센터가 가장 좋지만 거리가 굉장히 멀기 때문에 저는 부산에 있는 서비스센터를 갔습니다. 지금부터 ASUS서비스센터의 종류와 어떤 방식으로 운영되고 있는지, 무엇을 준비해야 하는지, 지방의 서비스센터는 어떤지에 대해서 알려드리겠습니다.
ASUS 서비스센터 종류 (1566-6868)
1. Royal Club : 1곳
2. ASUS 공인 서비스센터
3. TGS
4. 그 외
준비물
1. 구매영수증
2. 제품 구성품 전체
[1] ASUS 서비스센터
ASUS는 전국에 서비스센터를 가지고 있습니다. 외산 브랜드이지만 서비스에 최선을 다한 모습입니다. 서울이 아니더라도 지방에서도 AS를 받을 수 있다는 점은 외산 브랜드에게 쉽지 않은 일이기 때문입니다. (물론 그렇다고 삼성이나 LG 같은 국내 브랜드에 비할바는 아니지만 말입니다.) 하지만 전국에 서비스센터를 지원하는 대신 서비스센터 종류에 따라서 서비스의 질에 차이가 존재합니다. ASUS는 크게 3가지 종류의 서비스센터를 운영하고 있습니다. 그 종류는 아래와 같습니다.
1. Royal Club : 서울 용산구
2. ASUS 공인 서비스센터
3. TGS(TG 삼보 서비스) : 타사와 함께
1, 2, 3 순서대로 높은 질의 서비스를 받으실 수 있습니다. 또한 알려진 바에 의하면 1과 2의 서비스 질에는 큰 차이가 없다고 합니다. 둘 다 높다는 의미입니다. 3의 경우에는 ASUS뿐만 아니라 타사 제품도 같이 서비스하기 때문에 거부감이 들 수도 있다고 생각합니다. 제가 방문한 곳은 부산 사상구의 ASUS 공인 서비스센터였습니다.
여기서 주의하실 점을 알려드리겠습니다. 서비스센터마다 취급하는 제품 종류가 틀립니다. 어느 곳에서는 노트북은 취급하지 않고, 어느 곳에서는 태블릿을 취급하지 않고 이런 식입니다. 그렇기 때문에 1566-6868을 통해 자신에게 필요한 서비스센터를 꼭 문의해보시기 바랍니다. 저 또한 문의를 통해 가야 할 서비스센터를 결정하였습니다.
서비스 센터 - Korea | 공식지원 | ASUS 한국
서비스 센터 제품을 서비스 센터에 발송하거나 방문하기 전에 데이터를 백업하십시오. 수리 과정에서 메인보드 및 연결된 부품이 분해될 수 있으며, 관련 테스트는 장치를 초기화 시킬 수 있습
www.asus.com
이곳에서 공식 서비스센터 위치를 알아보실 수 있습니다.
[2] 서비스 종류
서비스를 받는 경우는 크게 2가지가 있습니다. 1. 초기 불량으로 교환/환불을 위한 불량판정서가 필요한 경우와 2. 사용 도중 제품이 고장하는 경우입니다. 각각 자세하게 설명해드리겠습니다.
1. 초기 불량
보통 구매를 하고 1달 이내에 발생하는 불량을 말합니다. 이런 경우에는 서비스센터에서 불량판정서를 받아야 판매처로부터 교환이나 환불을 받을 수 있습니다.
불량판정서가 필요한 이유로는 사용자가 드라이버를 미설치하거나 데모 버전 윈도우를 쓰는 바람에 생긴 소프트웨어 문제일 경우 교환/환불이 불가하기 때문입니다. 판매처 입장에서는 불량품(하드웨어 문제)이 아닌데 교환/환불을 해달라는 한셈입니다. 판매처와 구매자 모두가 서로 난감해지기 않기 위한 절차입니다.
제품 구성품 전부와 구매 영수증을 챙겨 서비스센터에서 불량판정서를 받고 판매처로 제품을 보내시면 간단히 해결됩니다.
초기 불량 시 행동강령
구성품 + 구매 영수증 → 서비스센터 방문 → 불량 판정 → 판매처로 제품 전달 → 교환/환불조치
구매 영수증은 초기 불량이 맞는지 구매일과 비교하기 위해서 필요하며구매 날짜, 모델명, 판매처가 포함되어 있으면 됩니다. 저 같은 경우에는 엔지니어분께서 제품을 보자마자 산지 얼마 안 된 것 같다고 굳이 필요하지 않다고 했습니다. 즉, 필수는 아니지만 혹시 모르니 챙기는 것이 좋을듯합니다.
2. 사용 도중 제품 고장 (보통 1년 이내)
보통 화면 불량, 팬 소음, 부팅 불량, 배터리 불량 같은 문제입니다. 말 그대로 구매 후 잘 사용하다가 부품이 고장 나는 경우입니다. 행동강령은 초기 불량의 경우보다 훨씬 간단합니다.
사용 도중 고장 났을 때 행동강령
구매 영수증 → 서비스센터 방문 → 수리
구매 영수증은 너무 오래된 제품이 아닌지 확인하는 용도입니다. 보통 제품 보증기간은 프리미엄으로 업그레이드하지 않는 이상 1년입니다. 1년이 지난 제품의 경우와 지나지 않은 제품의 경우에는 분명 부과되는 요금이 다를 것입니다. 전산에 노트북이 등록되어 있기도 하지만 간혹 전산과 실제 구매일이 다른 경우가 많으며 이는 소비자가 증명해주어야 합니다.
1과 2의 경우 공통점이 있습니다. 바로 노트북의 경우 하판을 열어보거나 하는 작업이 필요하기 때문에 현장에서 바로 해결되지 않을 가능성이 높다는 것입니다. 1~2일 정도는 생각하셔야 하고 데이터 백업은 필수입니다.
[3] 부산 사상구 ASUS 공인 서비스센터
제가 서비스를 받은 부산 ASUS 공인 서비스센터의 주소는 '부산시 사상구 학장로 329 몬스타빌딩1층'입니다. 바로 앞에 좁지만 주차장이 있어서 주차 걱정은 하지 않아도 되었던 점은 굉장히 좋았습니다.
내부의 경우 정리가 잘 안되어서 깔끔하지는 않다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번호표도 없었고 안내하는 사람도 없어서 조금 당황했습니다. 서비스센터라는 생각이 안 들었달까요? 그래도 어느 남성 한분이 무슨 일로 왔는지 물어보았고 친절하게 안내해주었습니다.
노트북 엔지니어분은 진짜 굉장히 친절하셨습니다. 최근 2년 동안 이렇게 친절한 사람을 본 적이 있었나? 하는 생각이 들 정도였습니다. 이점은 굉장히 만족스러웠습니다. 노트북의 증상을 말하고 관련해서 수리 신청서를 작성하면 끝이었습니다. 신청서에 노트북 비밀번호를 입력하는 곳이 있는데 웬만하면 비밀번호는 풀고 가져가시는게 좋을듯합니다. 혹시 모르잖아요?
그리고 지방이라 그런지 체계화되어있지 않아서 현장에서 바로 해결하는 것은 불가능에 가까워 보였습니다. 저 또한 신청서를 작성하고 며칠 안에 연락 준다고 해서 그냥 바로 돌아왔습니다. 만약 서비스센터가 집에서 먼 곳에 위치한다면 이 점도 고려하셔야 할 것 같습니다. 90% 확률로 2번 방문하셔야 할 겁니다. 점검이 완료되면 전화로 알려주고, 전화를 받지 않으면 문자를 남겨주십니다. 저는 하루 만에 연락이 왔습니다. 불량 판정은 받지 못했지만... 서비스는 대체적으로 만족합니다. 이 정도면 지방도 갈 만할 것 같습니다.
지금까지 ASUS 서비스센터에 대해 정리해보았습니다. 용산의 로열클럽이 가장 좋지만, 지방도 나쁘지는 않았습니다. 노트북이나 ASUS 제품에 문제가 발생하셨을 경우 꼭 진단을 받아보시기 바랍니다. 지나가는 말로는 ASUS의 경우 부품단가가 저렴해서 수리비도 많이 나오지 않는다고 합니다.
'기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유튜브 동영상 다운로드 하는 방법 종결 (0) | 2021.09.01 |
---|---|
[자격증] 컴퓨터활용능력 1급 실기 독학으로 합격하기 (함수꿀팁 있음) (1) | 2021.06.26 |
[서평] 품격 있는 대화 - 한창욱 (0) | 2021.05.26 |
[서평] 원시 시대와 고조선 (눈으로 보는 한국역사) (0) | 2021.05.16 |
댓글